top of page
김정아 KIM JUNGAH

김정아 작가는 일상의 표면 너머, 시간과 공간 속에서 잊히고 남겨진 것들에 꾸준히 주목해왔다. 1990년대 후반 도시 재개발과 소비 사회의 변화를 관찰하며 인간과 사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한 그는, 이후 ‘음식과 쓰레기’를 매개로 현대 사회의 욕망 구조를 해부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2010년부터는 작업의 영역을 바다로 확장해, 거제 인근 해변에서 해양 쓰레기를 직접 수거하고 이를 예술적 매체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환경 문제를 성찰해왔다. 버려진 플라스틱과 부유물은 그의 손에서 꽃, 요정, 숲의 형상으로 재탄생하며, 사라져가는 생명성과 인간 존재의 의미를 환기한다. 이러한 시도는 단순한 재활용을 넘어, 파괴와 재생, 기억과 망각의 미학을 탐색하는 행위로 자리한다.

김정아의 예술은 물질의 속성과 그 사회적 맥락을 해체·재구성함으로써, 현대인의 소비와 환경, 존재와 가치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의 작업은 개인적 실천에서 출발하지만, 동시대 미술이 직면한 윤리적·생태적 과제와 맞닿아 있으며, 미술사적으로는 ‘물질성과 지속 가능성’을 사유하는 동시대 한국 미술의 중요한 흐름과 궤를 같이한다.

image.png

작품 세계 Art Works

14. 요정의 초상, oil on canvas, 40x30cm, 2024 .jpg

대표 시리즈〈꽃보다 아름답다〉에서 김정아 작가는 폐어구, 플라스틱, 부유물 등을 화려한 꽃과 요정의 초상으로 재탄생시킨다. 눈앞의 아름다움 속에 인간의 무관심과 소비 사회의 그림자가 함께 드리워져, 관람자는 미적 즐거움과 불편한 진실 사이에서 사유하게 된다.

또 다른 작업에서는 남겨진 음식물 흔적과 도시의 잔해를 화면 위에 옮겨, 사라져가는 시간과 존재의 흔적을 기록한다. 김정아는 이렇게 빛을 잃고 남겨진 것들의 의미를 조명하며, 유용성을 넘어선 존재 가치를 드러내어 현대 사회가 외면한 사물 속에서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KakaoTalk_20250820_220920032
external-file_edited
10. 요정의 초상, oil on canvas, 20x30cm, 2025
9. 요정의 초상, oil on canvas, 20x30cm, 2025
2. 꽃보다 아름답다, 한지 캐스팅에 수채, 80x80x4 cm, 2024
19. 한 걸음 다가서면 바꿀 수 있어요_인공파도_전
18. 한 걸음 다가서면 바꿀 수 있어요_산호_후

김정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예술감독

 

C.P. 010-2251-2536

email kkyaha@gmail.com

instargram @marine_kja

 

개인전

2025 한걸음 다가서면 바꿀 수 있어요, 두손갤러리, 서울

2023 내 숲에 작은 새도 쉬고 초대전, 우주의 바다갤러리, 부산

2023 프로젝트 공 초대전, 탑골 미술관, 서울

2023 시간의 시각 삼자미술관 초대전, 남해

2022 Plug and Play 거제 문화 예술회관, 거제

2022 Message from the ocean. KT&G 본사 대치갤러리. 서울

2021 “푸른 골목의 안쪽” 더숲갤러리 초대전, 서울

2021 바다의 아픔, 꽃이 되다. 유류피해극복기념관 초대전,태안

2021” 바다 그 안의 나, 내 안의 바다” 거제시청. 거제

2020 “9시46분” 바다쓰레기 작품전, 통영리스타트플랫폼 갤러리 영, 통영

2018 “숨어 있던 꽃”, 갤러리 환, 서울

2014 “꿈과 이제 오후”, 가나아트 스페이스, 서울

2013 “바다, 귀 기울여 봐요”, 바다쓰레기 체험 학습지 발행 원화전

그룹전

2025 촉각적 풍경-touching, 갤러리 0℃, 서울

2025 창성동실험실상설전, 창성동실험실, 서울

2024 CHARMing 전, 교토시 국제교류회관, 일본

2024 예술에서 길을 찾다, 길갤러리, 부산

2024 자연의 현상-21인의 신작전. 마산 현대미술관

2024  거제 ,자연을 그리다  양달석 오마쥬전 .  가제문화예술회관 , 거제

2024 CHARMing 전, 쿄토시 국제교류회관, 일본

2024 촉각적 풍경 , 갤러리 0‘c ,서울

2024 Visual Voices:예술로 평화를 말하다, 로프트 드라운드, 서울

2024 아트부산, 벡스코,부산

2023 잊혀진 습관-한국. 프랑스작가 교류전   마산 현대 미술관,창원

2023 여산 양달석 오마주하다. 기획초대전. 거제문화예술회관, 거제

2023 Natura, Nature , ADgallery, 서울

2023 황해어보 ,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23 바람결에 들려오는 소리 , 키타노자카 갤러리, 고베, 일본

2023 토끼맞이 전 거제문화예술회관, 조선해양문화관, 거제

2022 비보호 좌회전 여미갤러리, 서산

2022 半 展 갤러리바이올렛, 서울

2022 사유의 형태들 웃다리 문화원. 평택

2022 The Nature-자연을 그리다. 포스코 더샵갤러리 .서울

2022 코리아 아트쇼2022 수원 컨벤션센터,수원

2021 별과 동강과 화가와 나 , 정선 507미술관,정선

2021 할아텍20주년기념태백석탄박물관 전시 , 태백

2021 "서울대학교 미대동창회전“ 온라인전

2021 "한울회" 온라인전

2020 "할아텍 남산을걷다", 남산도서관, 서울

2019 "목포원도심전”, 신안군수협, 목포

2019 "회상/vision전”, 금보성갤러리, 서울

2018 "The other side전”, 거제문화예술회관, 거제

2018 "빌라다르전", 예술의 전당, 서울

2017 "한울회정기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6 "카리테스전", 거제문화예술회관, 거제

2016"서울대개교70주년기념초대 모교나들이전",서울대 우석갤러리,서울

2016 "제주국제아트페어", 제주시민회관

2016 "한울회정기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6 "안평의 시대-두번째", 류미재갤러리, 양평

2015 "겸재 양천팔경재해석",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2015 "한울회 정기전", 제주문화예술진흥원

2015 "사랑 나눔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5 "안평의 시대", 류미재갤러리, 양평

2014 "한울회 정기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4 "홍콩 컨템포러리전", 홍콩

2013 "갤러리 스카이연 개관기념전", 서울

2004 "서울 판화 2005", 토포하우스, 서울

2004 "Art Online 2004", www.snuart.com

2002 "터키-이스탄불전", 탁심광장 콘서트아트홀, 터키 이스탄불

2001 "서울대학교-중국중앙 미술학원 교류전", 중국중앙미술학원, 중국 북경

2001 "신 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0 "The other side-3인전", 한전프라자갤러리, 서울

1999 "Newfigure-Painting & Project", 우덕갤러리, 서울

1998 "눈·보라전", 서울대학교 문화관, 서울

1995 "DMZ-아픈 기호들”, 나화랑, 서울

 

 

환경작업전시

 

2024  상상위에 green 창의 융합교육한마당.벡스코 ,부산

2024 세계환경교육 컨퍼런스 전시,고려대학교 SK미래관

2023 바다의 바람, KT&G 해양생태계 보호 프로젝트 환경전시회, KT&G상상마당. KT&G타워, 서울

2023 각자의 바다 은평문화예술회관,서울

2023 세계esg포럼 전시 , 파르나스 호텔 컨벤션, 제주

2023 업사이클 놀이터 ,광명 리사이클링센터, 광명

2022세계시민교육포럼전시 ,우양미술관, 경주

2022 "7차 국제 해양폐기물 컨퍼런스기념 환경전시, 벡스코 ,부산

2022 "플라스틱의 두 얼굴 전" 국립 광주 과학관 ,광주

2021 "바다의 미래를 그리다 .KT&G상상마당,부산

2021 "26회 바다의 날 기념 전시 ,거제

2020 "가로림만 해양정원콘서트" 전시

2019 "바다거북과플라스틱" 기획전, 국립생태원, 서천2019 "부산국제낚시박람회”, 한려해상국립공원

2019 "제2회 한국해양쓰레기 컨퍼런스 전시", 경상대학교 해양생물교육센터

2018 "환경교육한마당 작품전”, 국립해양박물관

2018 "ICC 국제연안정화 작품전”, 태안

2018 "한국해양쓰레기 포럼전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그린피스 플라스틱제로 캠페인” 설치, 부산 해운대

2017 "제1회 한국해양쓰레기 컨퍼런스 전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평창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사이드 이벤트

2014 "국가 해양환경교육 계획수립 워크숍” 전시

2014 "2014 해양쓰레기 포럼” 전시

2013 "해양쓰레기 교육홍보정책개발 워크숍” 전시

2013 "국제연안정화 지도자워크숍” 전시

2013 "강 유역 쓰레기관리 국제포럼” 전시

2013 "해양쓰레기포럼” 전시

2012 "스티로폼 학회” 전시

2011 "스티로폼 해양쓰레기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 전시

2011 "환경과 미술” 전시, 목포박물관

2011 "제11회 국제 연안 정화” 전시

2011 "반 프라네커 박사초청세미나-해양쓰레기 생물피해 연구와 정책적 활용” 전시

bottom of page